본문 바로가기

오라클/오라클 실무

RMAN 백업셋팅

https://positivemh.tistory.com/567

ㄴ내맘대로긍정

 

http://dbcafe.co.kr/wiki/index.php/%EC%98%A4%EB%9D%BC%ED%81%B4_rman_%EB%AA%85%EB%A0%B9%EC%96%B4

RMAN 명령어 정리

http://dbcafe.co.kr/wiki/index.php/%EC%98%A4%EB%9D%BC%ED%81%B4_rman_%EB%B3%B5%EA%B5%AC

RMAN 복구 시나리오 정리

 

http://dbcafe.co.kr/wiki/index.php/%EC%98%A4%EB%9D%BC%ED%81%B4_rman

ㄴ개념정리

 

https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dangtong76&logNo=140068354759

개념 정리(2)

 

RMAN 시 좋은점

-테이블 스페이스를 백업모드로 변경하지 않고 백업이 가능합니다.

이로인해 온라인 백업모드에서 불필요하게 생성되는 리두로그 정보가 없어진다.

 

-백업받는 동안 데이터블록의 충돌을 감지합니다.

-I/O를 병렬화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.

-모든 백업과 복구작업에 대한 로깅이 자동화된다.

-백업파일을 압축해서 저장할 수 있다.

-백업과 리스토어 작업을 병렬로 수행함으로서 시간 단축

-이기종간시스템간의 오라클 데이터파일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하다.

 

주의사항

1.Channel = 백업/복구 하는 경로 백업시 반드시 channel 을 할당 해주어야 한다.

2.RMAN DATABASE MOUNT 상태여야 복구가 가능하다.

3.RMAN 아카이브 로그모드가 켜져있어야 사용이 가능하다.

 

 

 

 

select table_name from dict where table_name like 'V$%RMAN%';

 

select session_key,

       input_type,

       status,

       to_char(start_time,'yyyy-mm-dd hh24:mi') start_time,

       to_char(end_time,'yyyy-mm-dd hh24:mi')   end_time,

       output_bytes_display,

       time_taken_display

from v$rman_backup_job_details

order by session_key asc;

-- RMAN 여부 확인

 

 

 

RMAN 사용순서

0. archive log mode 확인

1. export ORACLE_SID = +ASM1

2. ASMCMD -- ASM 시스템에 접속 리눅스 처럼 파일들을 관리할 수 있다.

3. 들어간 상태로 ASM 공간및 경로 확인하여 백업위치 선정

4.선정뒤 sqlplus 로 접속

5.show parameter arch

6.alter system set log_archive_dest_1 = 'location=+OCR_VOTE/ARCH' scope = spfile;

7.log_archive_format,log_archive_start        

8.ALTER SYSTEM SET LOG_ARCHIVE_START=TRUE SCOPE=SPFILE;

 

Rman target /

 

Show all;

 

List backup;

 

 

 

CONFIGURE CONTROLFILE AUTOBACKUP FORMAT FOR DEVICE TYPE DISK TO '+RECO/RMAN/db_ctl_%F';

-- 컨트롤 파일 autobackup

 

CONFIGURE CHANNEL DEVICE TYPE DISK FORMAT '+RECO/RMAN/%d_%U_%T.bk';

--

 

 

-- 옵션은 show all 명령어 치고 옵션값만 바꿔서 복붙 하면적용됨.

 

 

backup set -- 빈블록을 제외하고 모아서 저장

copy - 그냥 통째로 복사하여 저장

 

backup database;

 

 

[압축하면서 백업]

 

RMAN> backup as compressed backupset database format '/data/backup/rman/%U_%T';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↑ datafile 전체를 압축해서 해당 format 경로에 저장.

datafile 전체를 저장하면 용량이 꽤 큰데, 압축하면 용량이 많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
 

http://dbcafe.co.kr/wiki/index.php/%EC%98%A4%EB%9D%BC%ED%81%B4_rman_%EB%B3%B5%EA%B5%AC

 

 

 

 

 

backup 실습

 

CRS-2674: Start of 'ora.oradb.db' on 'ha-n01' failed

CRS-5017: The resource action "ora.oradb.db start" encountered the following error:

ORA-01157: cannot identify/lock data file 1 - see DBWR trace file

ORA-01110: data file 1: '+DATA/ORADB/DATAFILE/system.260.1103128117'

 

system datafile 유실 됬다고 가정한다.

 

 

 srvctl start database -d oradb -o mount

-- DB 마운트 까지 올린다.

 

list backup;

-- backup 목록을  확인한다.

restore datafile 1;

--백업파일에서 파일복원

recover datafile 1;

-- datafile 1 복구

 

 

 

Starting recover at 10-MAY-22

using channel ORA_DISK_1

 

starting media recovery

media recovery complete, elapsed time: 00:00:01

 

Finished recover at 10-MAY-22

 

SQL> alter database open;

 

Database altered.

 

 

 

복구 성공

'오라클 > 오라클 실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FTER COMMIT TRIGGER  (0) 2022.10.14
Materialized View란?  (0) 2022.10.07
RAC 명령어  (0) 2022.08.12
Dba_profile  (0) 2022.08.05
Impdp 가 실행 되었을 때 처리 순서  (0) 2022.08.01